본문 바로가기
2023-03-03 (금) 
"극장 출발 전 상영 시간과 영화 제목 최종 확인해주세요! 극장 사정상 예고없이 30분에서 최장 1시간이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루이스 브늬엘,Luis Buñuel 감독
  
Paul Frankeur ...  Pierre
Laurent Terzieff ...  Jean
Alain Cuny ...  L'homme à la cape / Man with cape
Edith Scob ...  La Vierge Marie / Virgin Mary
Bernard Verley ...  Jésus / Jesus
François Maistre ...  Le curé fou / French Priest

4:3 full screen/color/2.0 모노/98분
"1969'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심사위원 특별상
1970' Italian National Syndicate of Film Journalists 최우수외국어영화상 후보"

언어/France+West Germany+Italy
자막/한국
번역/DRFA,김교수





"DRFA 산티아고 네 번째 영화, 철학적인, 너무나 철학적인 산티아고 길에 관한 루이스 브뉘엘의 담론... 그리고 산티아고 길을 A부터 Z까지 역사적으로 들여다 본 최초의 영화"




멕시코의 김기덕, 영화계의 니체라는 별명이 붙은

루이스 브뉘엘이 산티아고 길에 도전했다는 사실이 무척 경이롭습니다.

게다가 산티아고의 다른 이름이 <은하수의 길>이라는 걸 이 영화를 통해 알았습니다.

북유럽에서 스페인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까지 펼쳐진 이 길에는

예수님의 12제자 중 야곱의 유해가 묻혔다는 전설이 나돌았고

이걸 기리기 위해 수도사들이 이 길을 걸었다고 하는군요.


우리는 DRFA에서 제 각자의 사연을 안고 이 길을 찾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죠.

이 영화 역시 각자의 사연(대부분 현실로부터 도피죠)을 갖고

이 길에 오른 두 명의 순례자 이야기입니다.

이 두 명의 순례자가 길 위에서 만나는 다양한  종교적 사건을 바라보는 담론의 영화이기도 하죠.

<부르조와의 은밀한 매력>과 <자유의 환영>과 함께 <브뉘엘의 진실에 대한 탐구 3부작> 중

한 편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대치시키고 나니 상당 부분이 이해가 가는군요.

비선형적인 플롯은 자칫 수많은 신학적, 철학적 논쟁을 낳기 딱 좋습니다.

지난 2000년 동안 이 길 위에서 설정된 시간과 공간을 가로지르는

고도로 상징적인 여행 기행문을 이토록 정교하게 풀어나갈 수 있다는 것은

브뉘엘이 얼마나 영화 제작에서 자유로운 영혼을 가졌는지

잘 알려주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브뉘엘의 전매특허,

카톨릭과 기독교를 사잡아 비난하는 그의 삐딱한 시선은

산티아고 길 위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됩니다.

하지만 그의 이런 회의적인 태도들은 놀랍게도 영적인 탐구와 사색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놀랍게도 이 영화는 느뷔엘의 영화중 유일하게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동시에 21세기 영화 비평가들 사이에서 갈수록 중요한 영화 텍스트로 연구되고 있죠.








두 명의 프랑스 여행객 피에르와 장은 파리에서 시작해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까지

순례길을 가기로 결정합니다.

그들의 여정은 전체적으로 성경을 풍자하면서 겹쳐집니다.

호세아에게 내려진 명령, <너는 창녀와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라>는 그 명령을

자신도 받았다는 검은 망토를 걸친 남자를 만나게 됩니다.

이윽고 두 명의 순례자는 숙소에 도착해서는 이번에는

카톨릭이 인간의 성화로 이용해 먹는 <성체>의 모순에 대해 토론하는 경사와 사제를 만나게 되지만

잠시 후 정신병원으로 끌려가는 사제를 보며 사제가 정신 이상자란 게 밝혀지죠.

산티아고 길 위에 있는 식당에서는 식당  매니저가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논의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논쟁을

직원들에게 설명할 정도입니다.

한 마디로 우리는 이 영화를 보고 나면 우리가 너무도 산티아고 길에 대해

안일하고 멩랑꼬리한 접근을 하고 있다는 회의가 들게 되죠.

산티아고는 우아하고 자랑하는 길이 아니라

신앙의 본질에 대해 먼저 사유해보라는 명령을 내린 길이라는 것을

이 영화는 따끔하게 꼬집습니다.


파리에서 산티아고까지의 지난한 순례의 행로를 연구하기 위해

무려 브뉘엘과 장 클로드 카리에르가 3년간 시나리오를 썼다고 합니다.

두 명의 순례자가 만나는 6세기의 프리실리안을 비롯해,

17세기의 예수회, 18세기의 사드 후작에 이르기까지

길 위에서 만나는 서구 기독교의 온갖 교파와 윤리를 연구하는데만

꼬박 3년이 걸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영화는 어지간한 인문학 서적 한 권을 읽는 것보다 더 방대한

지식적 고난을 요구합니다.

절대 생각하는 영화 싫어하는 분들은 신청 하심 안돼요.








아, 이 영화에서 혁명군에게 총살당하는 교황을 연기한 사람이 브뉘엘 자신입니다.

1969년 라 주 보 락테의 이야기는 실제 역사적 에피소드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루이스 부뉴엘과 장 클로드 캐리에가 시나리오를 써면서 가장 많이 참조한 서적이

아베 플뤼케의 <이단 사전>입니다.

이 책은 우리가 살면서 반드시 읽어두어야 할 필독서 같은 거죠.

브뉘엘의 자서전 <나의 마지막 한숨>을 읽어보면

브뉘엘은 마르셀리노 메넨데즈의 <헤테르독소의 변증법적 역사>를 읽고

이 영화를 만들 생각을 했다네요.

1967년 영화 <세브린느>를 찍으면서 브뉘엘과 엄청 싸워 원수가 되었던 Jean Sorel에게

이 영화의 예수님 역을 해달라고 제안했고

소렐은 심각하게 고민하다가 촬영 스케줄 때문에 거절했다고 하네요.


산티아고를 좀 더 근원적으로 알고 싶은 분들에게는 보석 같은 영화입니다.

다만 전 미리 경고했어요.

너무 철학적인 영화 싫어하시는 분들에게는

장희빈이 마시는 사약 같은 영화가 될 거라고요.



[DRFA,JONATHAN]

엮인글 :

profile

유감독

2023.02.19 17:15:58

PRQ(3)

이츠카T

따오기T

지휴T

문예T

연정T

profile

이츠카T35

2023.02.20 11:41:46

산티아고 길 위에서... 예약합니다.

profile

따오기

2023.02.26 15:04:55

따오기 1명 어약합니다.

지휴T315

2023.03.01 08:32:58

예약합니다

profile

따오기

2023.03.02 14:30:30

따오기 1명 추가합니다

profile

연정T145

2023.03.03 09:02:31

1명 예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