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6-06 (화) |
"극장 출발 전 상영 시간과 영화 제목 최종 확인해주세요! 극장 사정상 예고없이 30분에서 최장 1시간이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
---|
"4월 둘째주 일요일 딱 한 번 상영! 완벽하게 고품격 예술영화를 만나다!"
요제프 미슬리베체크는 18세기 후반 음악 고전주의 형성에 기여한 체코의 작곡가입니다.
특히 모짜르트에게 지대한 영향을 제공한 음악가입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미슬리베체크에게 교향곡,
이탈리아 정통 오페라, 바이올린 협주곡의 모든 영감을 받았다고 고백했죠.
모짜르트의 아버지 레오폴트 모짜르트는 어린 아들을 데리고
1770년 볼로냐에 미슬리베체크를 만나기 위해 먼 길을 떠납니다.
모짜르트의 아버지와 미슬리베체크는 나폴리의 산카를로 극장 운영을 두고 틀어지기 전 까지는
두 사람은 평생의 우정을 지속했죠.
모짜르트의 편지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스승이 바로 미슬리체크입니다.
(프라하 멜란트리초바 거리에 있는 미슬리브첵의 흉상,Josef Mysliveček,9 March 1737 – 4 February 1781)
미슬리베체크는 프라하에서 부유한 방앗간 주인의 쌍둥이 아들 중 한 명으로 태어납니다.
찰스-페르디난트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 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작곡가로 활동했죠.
1761년 방앗간 장인의 지위를 얻었지만 음악 공부를 위해 가업을 포기합니다.
프라하에서 1760년대 초 프란츠 하버만과 함께 작곡을 공부
1763년 조반니 페스체티와 함께 공부하기 위해 베니스로 떠나게 되죠.
이탈리아 유학 동안 보헤미안 귀족 빈센트 폰 발트슈타인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그는 세상 부러울 것 없는 삶을 영위합니다.
그래서 그를 평생 따라 다니는 이름이 바로 '일 보에모(보헤미안)'이란 필명입니다.
미슬리베체크의 첫 번째 오페라 <세미라미데>는 1766년 베르가모에서 공연되었죠.
첫작품의 성공에 이어 1767년 1월 20일 산 카를로 극장에서 초연된 <일 벨레로폰테>는
그 해 나폴리를 뒤흔듭니다.
이에 그는 모든 이탈리아 극장들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1순위 작곡가가 되죠.
당대 최고의 가수들이 그의 극에 출연하기 위해 줄을 섰지만
1780년 카니발 시즌에 밀라노의 테아트로 알라 스칼라에서 공연된 <아르미다>가 대실패를 기록합니다.
모짜르트가 자신의 편지에서 미슬리베체크를 섹스와 향락으로 점철된 음악가라고
종종 표현하는 바람에 미슬리베체크가 마치 향락과 타락의 음악가로 알려지게 되지만
정작 그의 사생활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려진 사실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는 평생 결혼하지 않았으며 그와 사겼다는 연인의 이름도 기록도 발견되지 않습니다.
평생 재정적으로 무책임했던 미슬리베체크는 1781년 로마에서 거의 노숙처럼
가난하게 세상을 떠납니다.
평소 그를 존경한 부유한 영국인 학생 제임스 휴 스미스 배리가
미슬리베체크의 장례 비용을 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루치나에 있는 산 로렌조 교회에 묻혔는데,
후대의 체코의 팬들이 그를 위해 이곳에 기념비를 세우죠.
이제 여러분들은 11.1 채널의 DRFA의 음향으로 오감을 깨우는 미슬리베체크의 인생과
그의 오페라에 흠뻑 빠지는 시간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세트와 미술, 그리고 의상과 배우들의 연기가 압권입니다.
반드시 점심식사를 포함해야 하며 티켓 가격은 3만원입니다!
번역해 주신 조학제 제독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DRFA.JONATHAN]

연정T(H)
밝음(4/2G+1H+1C/D)
맹물T(H)
하옥경(2/1G+1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