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시작 : | 2022-08-02 (화) |
---|---|
선택시간 : | 15:20 -17:40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Michelangelo Antonioni 감독
Steve Cochran ... Aldo
Alida Valli ... Irma
Betsy Blair ... Elvia
Gabriella Pallotta ... Edera, her sister
Dorian Gray ... Virginia
4:3 full screen/흑백/2.0 모노/116분
"1957' Locarn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황금레오파드상
1958' Italian National Syndicate of Film Journalists 촬영상
1958' Cahiers du Cinéma 올 해의 탑 텐 영화
1959' Avellino Neorealism Film Festival 그랑프리"
언어/Italy+France
자막/한국
번역/DRFA,김교수
"그 남자에게 사랑이 그토록 중요했을까?"
이제는 전설이 된 이 영화는
이미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가 세기말의 인간 군상을 한참 전에 묘사했다는
것만으로도 예언자적 영화로 통하죠.
어설픈 평론가들이나 영화 매니아들은 이 영화를
부랑하는 노동 계급의 소외가 어쩌니 하지만
그것은 인생을 설익게 산 이들의 평면적인 해석일 뿐이죠.
알도 라는 한 남자가 있습니다.
그는 이르마 라는 남편 있는 중년의 여자를 7년째 사랑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이르마의 남편이 역마살이 있어 7년째 행방이 묘연하기 때문이죠.
여자는 하루만 더 기다려보고...
하루만 더 기다려보고 당신의 사랑을 받아주겠다고 하고
남자는 그 하루에 희망을 걸면서 살아갑니다.
아니나 다를까 어느 날 이르마에게 남편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비명횡사했다는 소식이 날아옵니다.
알도는 이제 마침내 여자의 사랑을 차지할 수 있겠다고 내심 기뻐하지만
안타깝게도 여자의 마음은 이 사건으로 완전히 닫혀 버립니다,
뭐, 이 영화는 여자의 마음이 왜 닫혔는지 따위에 친절한 설명을 할애하지 않습니다.
그냥 여자의 마음이 남편의 사망 소식으로 완전히 닫혀버린 겁니다,
심지어 여자는 매달리는 알도에게 다른 남자가 생겼다고 거짓말까지 합니다.
알도는 여자에게 어떻게 내게 이럴 수 있냐며 달래도 보고
때려도 봅니다.
하지만 여자가 돌아올 마음이 없다는 것을 알자
알도는 무작정 집을 나섭니다.
이 여정에 그동안 알도를 아빠라며 따르던 이르마의 어린 딸 로시나까지
알도를 뒤를 따릅니다.
이 영화는 알도가 집을 나서는 그 순간에
알도의 죽음을 예견해버리는 희한한 영화입니다.
왜냐면 알도의 표정에 이상하게 <삶>이라는 애착이나 흔적이 싹 지워져 버리거든요.
알도는 이르마의 사랑을 거절 당하는 순간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는
그의 얼굴에서 이상한 죽은 저승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것을 연기로 커버해 낸 Steve Cochran의 연기가 죽음입니다.
어떻게 이탈리아인도 아니고 골수 미국 배우가
이런 깊은 연기를 해낼 수 있었던 것일까요?
Steve Cochran은 시나리오도 직접 쓰고
심지어 <햇볕 아래서 말해주오,Tell Me in the Sunlight>라는 영화도 한 편 만든 감독이기도 하더군요.
그래서 결국은 명감독이 되기 위해서는 캐스팅을 잘 하는 안목이 있어야 하더군요.
나야 게리 쿠퍼의 열혈팬이니까 그와 공연한 <달라스>를
빨리 보고 싶어지는군요.
(Steve Cochran의 알도 연기는 잊을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영화는 이후 알도와 로시나의 길 위의 삶을 보여줍니다.
알도는 여행 도중 여전히 젊은 날부터 줄곧 자신을 기다려온
옛 여자도 만나게 됩니다.
동시에 이 세상은 그 누군가의 사랑을 가지지 못해
고독에 절여진 채 압사 당하는 사람들로 가득차 있다는 것도 깨닫게 됩니다.
이 영화는 촬영의 승리이죠.
마치 어느 이름없는 유럽의 뒷골목에서 조용히 열리는
안토니오니 흑백 갤러리전을 잠시 다녀온 듯한 느낌을 줍니다.
얼마 전 우리나라에서도 개봉되었던 기예르모 델 토로의 <악몽의 골목>이
이 영화에게 바치는 오마쥬라고 감독이 밝힌바 있죠.
2022년 6월 파리의 시사회장에서 기예르모 감독은 <악몽의 골목> 전체적인 분위기를
<외침>과 거의 같은 분위기로 찍기 위해 굉장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소회했죠.
이 영화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앞으로의 페르소나이자 연인이 될
모니카 비티와의 첫 만남 영화입니다.
모니카 비티는 이 영화에서 얼굴은 내비치질 않지만
도리안 그레이의 더빙을 담당했죠.
엘비아 역을 연기한 벳시 블레어는 이 영화의 촬영이 끝난 지 6개월 만에
출연료를 받았다고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거의 못받을줄 알았는데 제작자 프랑코 칸첼리(Franco Canceliri)가
파리의 한 레스토랑에서 그녀를 불러내어 밥을 사주면서 출연료를 주었다고 하네요.
어떠신가요?
오래된 이탈리아 고전이 우리에게 던지는 조용하고 무거운 메시지에
귀를 기울여 보시지 않겠습니까?
그것은 <인간은 사랑의 부재로 죽어간다>라는 해묵었지만
살아보니 더욱 절절한 메시지랍니다.
[DRFA,JONATHAN]

<외침> 예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