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맨부커상 수상작&뉴욕타임즈베스트셀러

행복한 페르,Lykke-Per,2010

by 유감독 posted Jun 12,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상영시간 2시간 30분!  노벨상에 빛나는 덴마크의 문학의 거장 헨리크 폰토피단을 만나다!"





Henrik Pontoppidan (1857–1943)





대표작 <행복한 페르,Lykke-Per>로 191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덴마크 문학의 거장입니다.

그의 작품들은 덴마크의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면서

가난한 농민을 비롯하여 도회지의 인텔리 또는 유력한 정치가에 이르기까지

등장인물이 광범위합니다.

동시에 허위나 권력의 남용에 대해서 항상 비판적입니다.


1857년 7월 24일 프레데리시아에서 출생하였습니다.

유틀란트의 목사의 아들로 출생하여 처음에는 공학(工學)을 공부했지만

전공을 바꾸어 문학으로 빠져들었습니다.

특히 그가 노벨상을 받은 <행복한 페르,Lykke-Per>는

그가 1898년에 집필을 시작해서 무려 1904년까지 이어졌으며

총 8권으로 출판한 소설입니다.

현재까지 덴마크의 필독 소설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죠.


자신이 물러 받은 유산과 사회적 배경, 종교, 이 모든 것들로부터

완전히 탈피하기 위해서는 공학도가 되어 세상을 떠돌아 다녀야 한다고 믿는

페르 시데니우스(Per Sidenius)라는 남자의 이야기입니다.

이 소설은 출간과 동시에 토마스 만(Thomas Mann)과 게오르크 루카치(Georg Lukács),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와 같은 독일의 문호들로부터

열렬한 환호를 받았습니다.

특히 토마스 만은 이 소설을 "현대주의적 전환의 심오한 사회적.심리학적.형이상학적 해부"라며 극찬했죠.

20세기에만 모두 11개의 언어로 번역되었습니다.

결국은 헨리크 폰토피단이 이야기 하고자 하는 건

인간이 한 세상을 살다가면서 행복해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직업>과 관계되어 있으며

자신이 진정 몰아적인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직업과 함께 걸어가는 삶이야 말로

행복의 근원이라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죠.

주인공 페르 시데니우스는 덴마크 서부의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

장래 희망이 엔지니어입니다.

인간의 삶을 바꿀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어떤 것이든 개발하고 싶은 공학도인 것이죠.

하지만 그의 아버지는 절대적으로 아들이 목회자가 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페르는 아버지와 끝도 없는 논쟁을 하다 결국은 신앙을 포기하고

폴리테크니컬 대학교에서 공학을 공부하고 더 나은 공학도가 되기 위해

코펜하겐으로 여행을 하기로 합니다.

아버지는 이런 아들을 결국 호적에서 파내어 버리죠.






(안타깝게도 한국에서는 아직 번역되지 못했습니다)




코펜하겐에 도착한 페르는 자연 과학과 기술의 대선배들을 만나 토론하면서

부유한 유대인들과 글로벌한 지식인들과도 교류합니다.

페르는 은행가인 Philip Salomon의 친구가 되면서

그의 두 딸 Jakobe와 Nanny를 만나게 되죠.

페르는 낸시와 육체적 관계를 갖게 되면서

자신이 진실로 사랑하는 것은 언니 야코브임을 깨닫게 됩니다.

결국은 두 여자를 모두 잃은 페르는

그의 고향인 Jutland로 돌아와 운하와 항구 시스템 건설을 계획합니다.

그리고 그는 정치 및 학계의 도움을 얻는 일에 착수합니다.

학계는 페르의 이 계획이 실현 불가능하다고 단정하지만

페르는 은행계의 대부호 Salomon 가문에게 호소를 해

재정적 지원을 받아내죠.

하지만 이후 전국의 보수 단체는 끊임없이 조직적으로 페르를 공격하고

결국은 페르의 이 장대한 꿈은 좌절됩니다.

이에 실망한 페르는 자신이 잊었던 하나님께서 잠시 동안 매달리다가

이때 잉게르 목사의 딸과 결혼해서

세 명의 자녀를 낳죠.








자식들을 키우면서 페르는 자신이 아이들에게

자신의 아버지가 자신에게 했던

똑 같은 교육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고 소스라치게 놀랍니다.

이에 페르는 가족을 데리고 유틀란트 서부로 이사를 갑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공직자가 되어 혹독한 말년에 접어듭니다.

이후 그의 말년의 삶은 끊임없는 명상입니다.

내가 그때 은행가의 두 딸 Jakobe와 Nanny를 조금만 더 신중하게 대했더라면

나의 인생은 좀 더 미완에서 성숙된 단계로 나아가지 않았을까?

페르는 더 늦기 전에 큰 딸 야코브를 찾아가 용서를 구하고

그녀가 하고 있는 자선사업 단체에 자신의 전재산을 기부합니다,

소설의 말미에 페르가 하는 혼잣말은 현재까지 역대 가장 위대한

문학 속 격언으로 회자 되고 있죠.


"나에게 찾아온 모든 행운에도 불구하고 내가 행복하지 않았을 때,

그것은 내가 행복이란 단어의 일반적인 수준에서

행복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너무 멋진 말 아닌가요?

우리는 흔히 <행복>이란 단어를 입에 달고 살면서

얼마나 많이 페르 같은 잘못을 저지르는지요.

나는 <행복>을 위해 얼마나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설계하고 노력했는가?

나는 내게 다가온 소중한 인연을 행복과 무관하다 여기며

얼마나 등한시 했던가...


네, 결국은 노벨 문학상은 아무나 받는 것도 아니고

아무에게나 주어지는 것도 아니군요.

8권의 책 분량을 2시간 30분에 녹여낸

내가 존경하는 어거스트 감독에게 경의를 표하며...


김교수님과 허작가가 무려 6개월에 걸쳐 번역에 공들인 작품입니다.

최대한  헨리크 폰토피단의 원뜻에 가장 접근해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긴 러닝 타임 때문에 딱 한 번만 상영합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DRFA,JONATHAN]
 

Who's 유감독

profile

"최선을 다해 프로그램을 준비하라,

관객은 반드시 알아준다"


Articles